• 2025. 7. 11.

    by. 다라인맘

    요약: 2025년 7월부터는 조기노령연금 수급자가 근로소득이 있어도 연금이 감액되지 않습니다. 이에 따라 기존에 필요하던 재산정 신고(근로소득 발생 시 연금액 조정 신청)도 사실상 필요 없게 됩니다. 하지만 2025년 이전까지는 근로소득이 생길 경우 반드시 국민연금공단에 재산정 신청을 해야 하며, 신청하지 않으면 연금 환수 또는 감액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제도 개정 핵심 내용, 재산정 신청이 필요한 경우, 신청 방법과 주의사항까지 자세히 안내드립니다.

     목차

    국민연금 근로소득

    국민연금 수급 기본 구조

    항목 내용
    수급 연령 정상 수급: 만 63세 (출생연도별 다름)
    조기 수급 만 60세부터 신청 가능 (매년 6% 감액)
    최소 가입 기간 120개월 이상 (10년 이상)
    연금 종류 노령연금, 장애연금, 유족연금

    ⚠ 기존 감액 제도: 왜 연금이 깎였을까?

    조기노령연금을 받는 사람이 근로소득이 있으면, 월 270만 원(2025년 기준) 이상일 경우 그 달의 연금이 최대 절반까지 감액되었습니다.

    이유: 과거 제도는 “연금은 일을 하지 않는 사람에게 주는 것”이라는 원칙에 기반했기 때문입니다.

     2025년 7월부터 달라지는 핵심 내용

    구분 2025년 6월까지 2025년 7월부터
    조기연금 + 근로소득 월 270만 원 초과 시 연금 감액 감액 없이 전액 수령
    재산정 신고 근로소득 발생 시 필수 신고 필요성 완화 예상
    정상 노령연금 감액 없음 동일 유지

    근로소득 발생 시 재산정 신고란?

    ‘재산정 신청’이란 국민연금 수령자가 소득, 가족관계, 가입 이력 등에 변화가 생겼을 때 연금 수급액을 다시 조정 요청하는 절차입니다.

    재산정 신청이 필요한 대표 사례

      • 조기노령연금 수급자가 근로소득이 생겼을 때
      • 근로소득이 중단되었을 때 (감액 중지 가능)
      • 장애연금 수급자에게 일정 소득 이상 발생
      • 가입 이력이 추가 확인되어 연금액 상승 가능할 때

     

    국민연금 근로소득 국민연금 근로소득 국민연금 근로소득 국민연금 근로소득 국민연금 근로소득 국민연금 근로소득 국민연금 근로소득
    국민연금 근로소득 국민연금 근로소득 국민연금 근로소득

    재산정 신고(신청) 방법 자세히 보기

    온라인 신청

    1.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접속
    2. 공동인증서 로그인
    3. [전자민원] → [연금신청/변경] 메뉴 클릭
    4. 재산정 신청서 작성 및 제출

    오프라인 신청

    • 지사 방문, 팩스, 우편으로 서류 제출 가능
    • 필요서류: 신청서, 신분증 사본, 근로소득 증빙자료 (급여명세서, 원천징수영수증 등)

     주의할 점 및 세금·건강보험료 영향

    • 종합소득세: 연금 + 근로소득 + 금융소득 합산 시 매년 5월 신고 필요
    • 건강보험: 소득이 일정 수준 넘으면 피부양자 자격 상실 → 지역가입자로 전환

    국민연금 근로소득 국민연금 근로소득 국민연금 근로소득

     

    정리: 국민연금 수령자는 이렇게 대응하세요

    상황 조치 방법
    2025년 전 조기수급 중 근로 시작 재산정 신청 필수
    2025년 이후 근로소득 발생 감액 없음, 신고 필요 완화
    장애연금 수급 중 소득 발생 재산정 신청 및 자격 검토
    기초연금 병행 수급자 별도 소득·재산 조사 대상